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우선순위 분석 연구

1. 연구개요


□ 연구 배경 및 목적

  •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에 대한 관련 산업계 종사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의 개선 방안 및 추진 방향성을 제시

· 전 산업의 디지털화 진행에 따른 인력부족으로 인해, 디지털 인력양성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인력 공급 및 수요처의 의견수렴을 통한 정책 방향성 제시 필요

· 정부지원사업의 특성상 한정된 예산과 조직 등의 제약사항으로 인해 보다 효율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원정책 간 우선순위 설정하고 선택과 집중 필요


□ 연구내용

  •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조사방법을 활용한 정부의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 간 우선순위 조사
  • 디지털 인력양성 방안 제언을 위한 관련 기업 및 교육기관 대상 심층인터뷰

□ 조사대상 및 조사기간

  • AHP 설문조사 대상은 기업규모별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담당자로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교육기관(대학)도 포함시켜 수요처인 기업과 공급처인 교육기관의 의견을 비교 분석
  • AHP 설문조사는 2021년 9월 6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25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심층인터뷰는 10월 1일부터 10월22일 사이에 총 4건 진행


2.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 우선순위 분석


□ 정책 계층화 분류

  • AHP 설문지의 구성은 기존의 자료를 취합하여,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을 계층화 분류하여 정리하였고, 설문문항은 AHP 분석을 위해 지원방안 간의 1:1 이원비교 방식으로 구성

[표-1] 디지털 인력양성 지원 정책방안 계층화 분류표

대분류(1단계)

중분류(2단계)

주요 내용

정규 교육 지원

∙다수의 초․중급 전문가(학사) 양성을 위한 대학과정 지원

∙SW․AI 등 디지털 전문 교육 중점 대학을 선정하여 지원함으로써 다수의 초․중급 전문가(학사) 양성

∙소수의 고급 전문인력(석․박사) 양성 대학원 개설/운영 지원

∙SW․AI 등 디지털 전문 교육 대학원을 선정하여 고급 전문가(석․박사) 양성

∙연구실 단위의 지원을 통한 고급 인력(석․박사) 양성 지원

∙대학원 내 우수연구실을 선정하여 인건비, 실습/연구비 등을 지원하여 고급(석․박사)인력 양성 지원

학교+기업 연계 교육 지원

∙대학생 학점 연계 인턴십 지원

∙IT관련 전공 재학생(대학) 대상 학점을 연계한 국․내외 기업 인턴십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실무 경험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대학생(멘티)+기업실무자(멘토) 팀 프로젝트 수행 지원

∙대학생(멘티), 지도교수와 기업실무자(멘토)를 연결, 팀 프로젝트 수행 지원하여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인력양성 지원

∙대학원(석/박사)+기업 공동 프로젝트 수행 지원

∙대학원(석․박사)과 기업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수행 지원하여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인력양성 지원

비정규 교육 지원

∙소수의 최고급 전문가 양성 지원

∙IT 전공 대학생 중 심층적 평가를 통해 소수의 우수인력을 선발, 집중 관리를 통해 소수의 최고급 인력양성 지원

∙다수의 초/중급 전문가 양성 지원

∙기존의 교육훈련 기관을 양성기관으로 선정하여 초/중급의 보다 많은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지원

∙재직자 대상 단기 교육과정 지원

∙교육기관, 협회 등 기존 교육기관에 전문분야별 재직자 중심 단기 교육과정 지원

역량 개발 지원

∙IT역량지수 평가 및 자격증 취득교육 지원

∙역량 평가 및 전문분야별 공인 자격증 취득교육 등을 지원

∙해커톤 / 경진대회 지원

∙다양한 해커톤, 경진대회 개최를 지원하거나 정부주관의 정기적 대회 개최



□ 1단계(대분류) 정책방안 간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

표-2

  • 정책방안 1단계 대분류 간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는 [표-2]와 같이 ‘학교+기업 연계 교육 지원’(.367)이 최우선순위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역량 개발 지원’(.235) ‘정규 교육 지원’(.234)이 거의 동일한 중요도를 보였고,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인 정책은 ‘비정규 교육 지원’(.164)

□ 정책 간 상대적 중요도 복합가중치 분석결과

[표-3] 정책 간 상대적 중요도 복합가중치 및 전체 순위 종합

표-3

  •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 지원방안의 대분류 1단계 4가지의 가중치에 2단계 하위 중분류 11가지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복합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표-3]와 같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돼야할 정책은 ‘대학원(석․박사)+기업 공동 프로젝트 수행지원’(.145)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대학생(멘티)+기업실무자(멘토) 팀 프로젝트 수행지원’(.131), ‘IT역량지수 평가 및 자격증 취득교육지원’(.127)순으로 상위 3순위 중요도가 부여됨
  • · 반면,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인 정책은 ‘소수의 최고급 전문가 양성 지원’(.040), ‘재직자 대상 단기 교육과정 지원’(.061), ‘다수의 초․중급 전문가 양성지원’(.063) 순으로 하위 3순위가 꼽혔고, 이는 모두 ‘비정규 교육 지원’ 정책에 속함

  • 기업 집단의 경우 ‘대학생(멘티)+기업실무자(멘토) 팀 프로젝트’(.150) 정책을 가장 최우선 과제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IT역량지수 평가 및 자격증 취득교육 지원’(.143), ‘대학원+기업 공동 프로젝트 지원’(.140)순으로 상위 3순위 선정
  • · 기업 집단에서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인 정책은 ‘비정규 교육 지원’ 분류의 ‘소수 최고급 전문가 양성 지원’(.034)이며, 다음으로 ‘정규 교육 지원’ 분류의 ‘연구실 단위 지원’(.047), ‘소수 고급 인력 양성 대학원 지원’(.050) 순으로 나타남

  • 교육기관의 경우 정규 교육 지원의 ‘소수의 고급 전문인력 양성 대학원 개설 운영지원’(.143)과 ‘학교+기업 연계 교육 지원’에서 ‘대학원+기업 공동 프로젝트 수행 지원’(.143)이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고, 다음 순으로 ‘연구실 단위의 고급인력 양성지원’(.131)으로 나타나, 대학원을 통한 인력양성 지원 정책이 모두 높은 중요도를 보임
  • · 반면, 교육기관에서는 ‘비정규 교육 지원’의 3가지 정책 모두에 가장 낮은 중요도를 부여

  • 정책 방안 간 복합가중치 결과를 기업과 교육기관으로 비교해 보면, [그림-2]과 같이 전반적으로 상반된 방향성을 보임
  • · 기업 집단의 경우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학교+기업 연계 중심의 정책을 꼽고, 정규 교육 지원 정책들에게 낮은 중요도를 부여하였지만, 교육기관의 경우 대학원 중심의 정규 교육 지원에 무게를 두고 있어, 두 집단 간의 격차가 존재


이미지3

[그림-1] 디지털 전문인력 양성 지원 정책방안의 복합가중치(전체)


이미지4

[그림-2] 디지털 전문인력 양성 지원 정책방안의 복합가중치(기업 VS 교육기관)



3. 연구결과


□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의 최우선 과제

  • (대분류 1순위) ‘학교와 기업 간 연계를 통한 교육 지원’ 정책
  • · (중분류 1순위) ‘대학원(석․박사)과 기업 공동 프로젝트 수행 지원’

    · (중분류 2순위) ‘대학생(멘티)과 기업실무자(멘토) 간 팀 프로젝트 수행 지원’

    · (중분류 3순위) ‘IT역량지수 평가 및 자격증 취득교육 지원’

□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에 대한 기업과 교육기관의 격차

  • ‘정규 교유 지원’과 ‘학교+기업 연계 교육 지원’ 정책에 대한 기업과 교육기관 간의 시각차 존재
  • · (격차 1순위) ‘소수의 고급 전문인력(석․박사) 양성 대학원 개설/운영 지원’

    · (격차 2순위) ‘연구실 단위의 지원을 통한 고급 인력(석․박사) 양성 지원’

    · (격차 3순위) ‘대학생(멘티)+기업실문자(멘토) 팀 프로젝트 수행지원’

□ 연구결과 요약

  •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 지원방안 간의 상대적 우선순위 분석결과,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정책은 ‘교육기관과 기업 간의 연계를 통한 교육 지원’을 인력의 실수요처인 기업과 교육기관의 협업을 통한 방향으로 정책이 이뤄져야함
  • 몇몇 부분에서 기업과 교육기관 간의 격차를 보이는데, 기업의 경우 초․중급 인력의 양적 확대와 기업 현장과 연계된 교육에 중요성을 부여한 반면, 교육기관의 경우 대학원 위주의 소수의 질적 향상 교육에 무게를 두고 있음
  • 물론 교육기관의 경우에도 대학원과 기업의 공동 프로젝트 지원 정책 같이 기업 연계 교육 지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어, 교육의 방향성이 실무와 연계된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것에는 모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음

  • 심층인터뷰 결과에서도 인력양성의 방향성이 기업과 교육기관이 연계된 방식으로 이뤄져야한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
  • · 다만, 기업의 교육 참여에 대한 구체적인 유인책 및 보상․혜택 방안 모색 필요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