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주요국의 소버린 AI 추진 현황 분석과 시사점 [ICT SPOT ISSUE(2025-08호)] | ||
|---|---|---|---|
| 작성일 | 2025.10.19 | 작성자 | FKII |
| 첨부파일 | |||
[원문 링크 바로가기] 주요국의 소버린 AI 추진 현황 분석과 시사점 [ICT SPOT ISSUE(2025-08호)]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1. 소버린 AI의 정의와 중요성
2. 주요국 소버린 AI 추진 현황
가. 미국
나. 중국
다. EU
라. 싱가포르
마. UAE
3. 시사점
*****************************
□ 소버린 AI의 정의와 중요성
ㅇ 소버린 AI는 국가가 자국의 기술·데이터·인프라를 기반으로 AI를 독립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한 자주적 AI 생태계를 의미
ㅇ 단순한 기술 자립을 넘어 국가의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고, 경제적 자립을 강화하며, 궁극적으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전략적 도구로서 중요성 증대
ㅇ 소버린 AI 역량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AI 모델, △컴퓨팅 파워, △데이터, △기술·인재 등 필수 구성요소의 균형적 뒷받침이 필수
□ 주요국 소버린 AI 추진 현황
ㅇ (미국) 국가 안보 차원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행정명령 조치를 마련하고, 빅테크의 최고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AI 생태계 리더십을 강화
ㅇ (중국) 완전 기술 자립을 위해 오픈소스 생태계 기반 AI 모델 역량 향상을 촉진하고, 국가 컴퓨팅 인프라·데이터 자산화·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투자 확대
ㅇ (EU) 윤리·투명성 중심의 정책적 접근으로 글로벌 AI 거버넌스 논의를 주도하는 한편, 미·중에 대응하기 위해 EU 역내 인프라 확충에 집중
ㅇ (싱가포르)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여 동남아권 LLM 개발을 주도하고, 안정적 AI 인프라 확보에 투자하며, 포용적 AI 전략으로 역내 영향력 확대
ㅇ (UAE) 풍부한 자본·민첩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자체 AI 모델 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개방적 소버린 AI 전략을 통한 인프라 확충·정부 서비스 고도화 등 추진
□ 시사점
ㅇ 소버린 AI 구축을 위한 민·관의 전략적 역량 결집은 필수이며, 충분한 컴퓨팅 자원 확보와 고품질 한국어 데이터 개방·활용 촉진이 필요
ㅇ 강점을 지닌 분야에서의 AI 모델 개발·확산에 집중하는 한편, 미래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AI 특화 교육 확대 등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