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2025년 상반기) | ||
---|---|---|---|
작성일 | 2025.08.11 | 작성자 | FKII |
첨부파일 |
[원문 링크 바로가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2025년 상반기) - 한국인터넷진흥원
Part 1. 사이버 위협 동향
1-1. 침해사고 신고 현황
1-2. 사이버 위협 분석
Part 2. 전문가 칼럼
2-1. AI 기본법 분석을 통한 산업 영향 평가 및 발전 전망
2-2. 개인정보 유출사고 증가로 보는 국내 보안 환경 변화
2-3. MCP, A2A 프로토콜이 보안에 미치는 영향
2-4. 탐지되지 않은 침투, 예방을 넘어선 실시간 탐지 및 대응이 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인터넷진흥원)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 제48조의3(침해사고 신고 등)에 따라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로부터 침해사고 신고를 받고 있다. 연도별 침해사고 신고 통계를 살펴보면 2023년 1,277건에서 2024년 1,887건으로 전년 대비 약 48% 증가 하였으며, 2023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반기별로 살펴보면 2023년 상반기 664건/ 하반기 613건, 2024년 상반기 899건/ 하반기 988건, 2025년 상반기 1,034건의 침해사고 신고가 있었다.
2025년 상반기 침해사고 신고 건수는 1,034건으로 전년 상반기 대비 15% 증가했는데, 이는 계정 관리에 취약한 IoT 등을 활용한 DDoS 공격(238건), 웹셸(Web Shell) 및 악성 URL 삽입 등 서버해킹(531건) 증가와 함께 침해 사고 정황 인지 후 24시간 이내 신고를 규정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시행(‘24.8.14) 및 SKT 침해사고*(4.20) 여파에 따른 기업들의 침해사고 신고 인식 개선도 올해 신고 건수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