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의료AI, 표준화, AI규제, 에너지 [AI·ICT Brief 2025-24호] | ||
---|---|---|---|
작성일 | 2025.07.14 | 작성자 | FKII |
첨부파일 |
[원문 링크 바로가기] 의료AI, 표준화, AI규제, 에너지 [AI·ICT Brief 2025-24호]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Ⅰ 주요 이슈
1. MS, 인간 의사보다 4배 정확한 진단 AI 공개
2. ICT ‘표준전쟁’ 격화, 기술 주권 경쟁 심화
Ⅱ 주요국 동향
1. 미국 AI 규제 모라토리엄 부결의 의미와 영향
2. 구글 發 에너지 혁신, ICT 산업 에너지 전략의 새로운 지평
Ⅲ ICT 부문별 모니터링
Ⅳ 주요 ICT 행사 일정
**************
① 주요 이슈
ㅇ MS, 인간 의사보다 4배 정확한 진단 AI 공개
⦁ MS가 5개 AI 에이전트(Dr. Hypothesis, Dr. Test-Choser 등)가 논쟁 사슬로 협업하는 MAI-DxO를 공개, SDBench 기반 '질문-검사-판단' 동적 진단으로 85.5% 정확도 달성
⦁ 모델 독립적 오케스트레이터 설계로 GPT·Claude·Gemini 등 다양한 LM 성능을 평균 1%p 향상, AI 에이전트의 비용 최적화로 진단 정확도 유지하면서 의료비 40% 절감 실현
ㅇ ICT '표준전쟁' 격화, 기술 주권 경쟁 심화
⦁ 기존 기술(5G·Wi-Fi·반도체)의 SEP 중심 기업 경쟁에서 차세대 기술(6G·AI·양자)의 SSO 주도권과 정책 프레임워크 경쟁으로 전환, 화웨이·퀄컴·에릭슨이 5G 표준 삼분
⦁ AI는 미국 NIST AI RMF의 자율적 혁신 vs EU AI Act의 위험기반 규제로 대립, 양자암호는 미국 PQC(소프트웨어 기반) vs 중국 QKD(양자통신 인프라)의 기술 노선 분화
② 주요국 동향
ㅇ 미국 AI 규제 모라토리엄 부결의 의미와 영향
⦁ 미국 상원이 주정부 AI 규제를 10년간 금지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AI 모라토리엄을 9대 1로 압도적 부결시키며, 빅테크가 지지한 '규제 통합'보다 아동 안전과 주정부 권한을 우선시
⦁ EU AI Act와 중국 AI 임시 조치 등 각국이 포괄적 AI 규제를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연방 차원 통일 규제 없이 45개 주의 분산된 접근, 글로벌 AI 거버넌스 주도권 약화 우려
ㅇ 구글 發 에너지 혁신, ICT 산업 에너지 전략의 새로운 지평
⦁ 구글은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스타트업인 CFS와 20MW 규모의 핵융합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하며 미래 에너지 전환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
⦁ 글로벌 핵융합 기술 투자에 빅테크의 참여 비중이 45%에 이르는 가운데, 구글도 24/7 탄소 무배출 전력 목표 달성을 위해 핵융합을 포함한 차세대 청정 전력원 확보 속도 강화